-
고대 그리스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4세기) 패션
고대 그리스 패션은 입체감과 인체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에 중점을 두어 단순함, 기능성 및 우아함을 강조했다. 의복 스타일은 기후, 사회 관습, 개인 취향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아 고대 그리스 패션을 문화적으로 다양하고 풍요롭게 만들었다. 세월이 흘러도 변치 않는 우아함으로 고대 그리스 패션은 현대에도 지속적으로 패션 디자인에 영감을 주고 있다.
고대 그리스의 의복 히마티온(himation)을 걸치고 있는 동상 (출처-Garden statue, Sculpture, Terracotta image) 고대 그리스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4세기) 의복의 소재
양모(wool)는 고대 그리스 의복의 소재로 사용된 흔한 직물이었다. 양모는 단열의 기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체온 유지가 필요한 겨울에 많이 사용되었다. 리넨(linen)도 사용되었지만, 양모에 비해 보급률이 낮았다. 더운 여름 가벼운 옷과, 속옷 제작에 사용된 직물이다. 실크(silk)는 중국, 페르시아, 인도 등 먼 지역에서 수입한 고급 직물이며, 부유한 계층만 의복 제작에 사용하였다. 고대 그리스의 의복은 직물에 염색을 따로 하지 않았으며, 직물의 자연스러운 색, 흰색과 흙색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부유층은 고급스러운 의복 제작을 위해 보라색, 빨간색, 파란색의 색상을 염색하기도 했다.
고대 그리스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4세기) 의복의 스타일 및 의미
고대 그리스에서 가장 상징적이고 널리 입는 고대 그리스 의복은 키톤이다. 그리스의 남녀 모두가 입었으며, 직사각형의 천 조각으로 어깨와 허리에 고정시켜 입는 의복이었다. 키톤에는 도릭 키톤 (doric chiton)과 이오닉 키톤 (ionic chiton)의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도릭 키톤은 그리스에 정착한 도리아인이 입었던 옷으로 한조각의 천으로 만들었으며, 어깨에 핀으로 고정했다. 의복의 한 쪽 옆은 개방된 상태이며, 간혹 봉합하여 입는 경우도 있다. 이오닉 키톤은 이오니아인이 입었던 옷이다. 맨몸이나 키톤 위에 히마티온 (himation)을 착용하였다. 히마티온은 직사각형으로 왼쪽 어깨에서 시작하여 걸치고 등을 돌아 오른쪽 겨드랑이나 어깨 위에 덮은 후 남은 끝자락을 다시 왼쪽 어깨에 걸쳤다. 허나 입는 방법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바뀌고는 했다. 여성 전용으로 착용하는 페플로스 (peplos)는 민소매 의복이며, 키톤과 동일하게 직사각형 천 조각이지만, 키톤보다는 딱 맞는 모습을 연출했다. 키톤과 페플로스 위에 입을 수 있는 직사각형 숄은 히마티온(himation)이라 불린다. 고대 그리스는 의복을 통해 정체성과 사회적 지위를 표현하였다. 의복의 품질과 스타일에 따라 사회적 지위, 부유층과 엘리트를 나태냈으며, 의복을 통해 단순함과 정숙함을 강조하는 그리스의 가치도 의복에 반영되어 있다.
고대 그리스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4세기) 헤어스타일 및 장신구
고대 그리스의 헤어스타일은 몸단장과 외모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사회적, 문화적 의미도 지녔다. 남성은 일반적으로 머리를 짧게 하고 때로는 남성성과 성숙함의 상징으로 수염을 기르기도 했다. 여성은 시대와 지역 풍습에 따라 다양한 헤어스타일이 존재했지만, 일반적인 스타일은 브레이드 머리에 헤어핀과 리본으로 장식을 한다. 고대 그리스의 신발은 단순하고 실용적이었다. 가장 일반적인 신발의 유형은 샌들이며, 가죽이나 직조 섬유로 제작하였다. 샌들은 발가락이 보이도록 제작되었으며, 발목 주위에 끈으로 묶인 끈이 있다. 키톤의 앞, 뒤자락을 양쪽 어깨에 연결하는 브로치와 금, 은, 각종 보석으로 정교한 세공기술로 제작한 목걸이, 팔찌, 귀걸이, 반지는 남녀 모두에게 인기 있는 장신구였다. 대게 여성들은 벨트를 이용하여 허리를 조여 몸매를 부각 시키는데 사용했다. 모자와 머리띠는 때때로 착용했지만,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로마 등 다른 고대 문명만큼 널리 퍼지지 않았다. 오일과 화장품, 향수의 사용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여 고대 그리스의 개인적인 몸단장을 중요시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패션과 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드립 커피: 간단한 방법으로 완벽한 향과 맛을 즐기는 방법 (0) 2023.07.27 고대 로마 패션 (0) 2023.07.26 고대 이집트의 패션 (0) 2023.07.25 커피의 역사 (0) 2023.07.24 고대 문명의 의복 소재, 스타일 및 의미 (0) 2023.07.24